MBC 드라마 개인의 취향(2010) 은 이민호와 손예진의 달콤하고도 유쾌한 로맨스로, “이 남자, 게이일지도 모른다”라는 신선한 설정으로 화제가 된 작품입니다. 세련된 로맨틱 코미디 속에 ‘진짜 사랑의 의미’와 ‘타인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마음’을 그려내며, 1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꾸준히 회자되는 인생 드라마죠.
개인의 취향 줄거리: 서로 다른 두 사람, 한 집에서 시작된 로맨스
개인의 취향은 말 그대로 ‘취향이 다른’ 두 남녀의 동거 이야기입니다. 손예진이 연기한 박개인은 독특하고 순수한 성격의 가구 디자이너입니다. 실력은 있지만 세상 물정엔 어둡고, 인간관계에도 서툰 인물이죠. 그녀는 한때 사랑했던 남자에게 배신당하고, 인생의 의욕까지 잃은 상태에서 지친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 개인 앞에 나타난 남자가 바로 전진호(이민호). 그는 완벽주의자 건축가로, 깔끔하고 냉철한 성격의 소유자입니다. 그는 개인이 살고 있는 ‘상고재’라는 전통 한옥의 구조를 연구하기 위해 게이인 척하며 세입자로 들어오게 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는 개인의 순수함에 끌리고, 자신의 거짓말이 만들어낸 관계 속에서 혼란을 느끼게 되죠. 이 드라마의 흥미 포인트는 ‘게이인 척하는 남자’라는 로맨틱 코미디 특유의 오해 설정이 아니라, 그 안에서 두 사람이 서로를 이해하고 변화해가는 과정에 있습니다. 진호는 개인을 통해 사람의 온기를 배우고, 개인은 진호를 통해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두 사람의 관계는 웃음과 설렘, 그리고 진심이 공존하는 감정의 여정이에요. 특히 개인이 진호를 향해 “당신이 진짜 게이라도 괜찮아요”라고 말하는 장면은 사랑의 본질이 외형이나 조건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마음’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순간이었죠.
등장인물: 서로의 결핍을 채워준 사람들
개인의 취향은 캐릭터 간의 케미가 완벽했습니다. 주인공뿐만 아니라 주변 인물들까지 각자의 매력으로 극을 풍성하게 만들었죠. 전진호(이민호) — 완벽주의 건축가. 그는 일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철저히 계획적인 성격을 지녔습니다. 하지만 사랑에 대해서는 서툴고, 감정을 표현하는 데 익숙하지 않죠. 이민호는 차갑고 도도한 외면 속에 숨은 따뜻한 인간미를 자연스럽게 표현했습니다. 그의 진심 어린 눈빛과 미묘한 감정 변화는 시청자들의 마음을 흔들었죠. 박개인(손예진) — 엉뚱하지만 따뜻한 여자. 그녀는 세상에 상처받았지만 여전히 사람을 믿고 사랑할 줄 아는 인물입니다. 손예진은 특유의 감성 연기로 개인의 순수함과 현실적인 면모를 동시에 그려냈습니다. 그녀의 웃음과 눈물, 그리고 어설픈 행동 하나하나가 너무 ‘사람 같아서’ 공감이 갔죠. 한창렬(김지석) — 개인의 전 남자친구로, 야망과 욕망 사이에서 흔들리는 인물입니다. 그는 과거의 잘못으로 인해 후회하지만, 이미 떠나간 사랑을 되돌릴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죠. 김인희(왕지원) — 개인의 친구이자 배신자. 처음엔 친근했지만, 결국 개인의 남자를 빼앗는 인물로 등장합니다. 이 캐릭터는 인간관계의 현실적인 이면을 보여주며, 시청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 외에도 전진호의 친구이자 코믹한 조력자 노상준(정석원), 따뜻하고 진심 어린 조언을 아끼지 않는 박개인의 아버지(안석환) 등 조연들의 연기가 드라마에 생기를 불어넣었습니다. 드라마 개인의 취향 속 인물들은 모두 결핍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하지만 그 결핍이 서로를 이해하게 만들고, 결국 사랑과 성장을 이끌어냅니다. 이 점이 바로 이 드라마가 단순한 로맨틱 코미디를 넘어선 이유죠.
총평: 사랑은 이해에서 시작된다
드라마 개인의 취향은 단순히 ‘로맨스’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진심’을 다룬 드라마입니다. 이 작품이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이유는, 사랑을 다루는 방식이 따뜻하면서도 현실적이기 때문입니다. 진호와 개인의 관계는 처음부터 완벽하지 않았습니다. 거짓말로 시작된 인연이었고, 서로의 다름이 불편하게 느껴졌죠. 하지만 두 사람은 조금씩 서로의 세상에 스며들며, 결국 서로의 ‘결핍’을 채워주는 존재가 됩니다. 드라마는 사랑이란 결국 상대방을 바꾸는 게 아니라, 이해하는 것임을 보여줍니다. 진호는 개인의 엉뚱함을, 개인은 진호의 냉정함을 서로의 개성으로 받아들이게 되죠. 그들이 함께 웃고 싸우고 오해하며 성장하는 모습은 현실 연애의 축소판처럼 진솔했습니다. 또한, 이민호와 손예진의 케미는 지금 봐도 완벽합니다.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가진 두 배우가 만나 유쾌함과 설렘, 그리고 따뜻함이 조화를 이루었죠. 특히 후반부로 갈수록 진심이 느껴지는 감정신들은 많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울렸습니다. 드라마 개인의 취향의 또 다른 매력은 ‘공간’입니다. 한옥 상고재의 따뜻한 분위기, 조명, 미장센은 드라마 전체의 감성을 완벽히 살려냈습니다. 그 안에서 인물들의 감정이 오롯이 녹아 있었죠. 결국 이 드라마는 이렇게 말합니다. “사랑이란,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 완벽하지 않아도, 진심이면 충분하다는 메시지는 지금의 연애 세대에게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개인의 취향〉은 그래서, 단순히 ‘로맨스 드라마’가 아니라 사람을 이해하는 법을 알려준 드라마로 기억됩니다.